센터뉴스

제목 김재왕 변호사, "장애는 극복하는 게 아니라 적응하는 것이다."
작성자 admin
작성일시 2018-04-19 11:47:53
내용

대학원총학생회 인권센터와 학교 인권윤리센터는 공동주관으로, 4월 18일(수) 저녁,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 만드는 법](일명 ‘희망법’) 대표 김재왕 변호사를 초청하여 인권특강을 개최했다.

 

 

본교캠퍼스 인터내셔널빌딩 1층 다목적홀에서 저녁 6시부터 90분간 진행된 이번 행사는 ‘장애는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적응하는 것’이라는 제목으로 열렸다. 초청 강사인 김재왕 변호사는 국내 최초의 시각장애인 변호사로 자신이 시각장애인의 입장으로 로스쿨을 다닌 과정 등을 사례로 들면서, 장애의 개념과 차별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갔다. 김 변호사는 태어날 때부터 오른쪽 눈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생활에 불편함이 없었고, 왼쪽 눈에 이상이 오기 시작한 것은 대학원에 갈 무렵이었다고 한다. 자꾸 넘어지고 책을 읽기가 힘들어졌고, 이윽고 남은 한쪽 눈의 시력마저 잃게된 것이다. 결국 그는 식물학자의 꿈을 포기하고 용기를 내어 장애인 복지관을 찾아갔다. 선배 시각장애인들의 조언을 들으며 점자 같은 것을 배우면서 그는 새로운 삶에 적응해 나갔다. 글을 볼 수는 없지만 들을 수 있고 또 쓸 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점점 더 할 수 있는 게 늘어나면서, 그는 로스쿨 입시를 준비했다.

 

 

그의 발표에 따르면, 장애를 인지하는 순간 장애인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 역시 한쪽 시력이 원래 안 좋았지만, 한 번도 자신이 장애인이라고 생각했던 적은 없었다. 무엇보다도 장애인으로서 사회적 참여의 장벽을 느꼈을 때, 자신이 장애인이라고 느낄 수가 있다. 즉 환경적 요인이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장애인이 참여할 수 없도록 만드는 환경적 요인이 장애인의 사회적 참여를 가로막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장애인의 잘못이 아니다. 장애는 치료를 통해 극복되지 않는 한 극복될 수 있는 게 아니라 적응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인을 대할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주의하고 존중해야 한다고 김변호사는 강조한다. 다음과 같다.

 

장애인을 대하는 법
- 도움을 주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 것.
- 보호자처럼 굴지 말 것.
- 보조기기를 존중할 것

 

결국 장애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이다. 장애를 가졌다고 불쌍하다거나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김 변호사는 시력을 다 잃어버렸을 때, 장기적 전망이 사라지면서 그 순간 사는 게 힘들었다고 한다. 친구들 만나는 것도 꺼려지고, 밤에 잠도 잘 못자고, 장애라는 게 내 문제가 되면서 그 부담감이 자신을 짓눌렀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렇게 말한다.

 

“로스쿨에 입학하게 된 과정은 내게 많은 변화를 준 과정이었다. 눈이 안 보여서 할 수 없는 게 아니라 환경이 나를 못 받쳐줬던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로스쿨을 다니면서 남에게 요구하는 것이 권리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는 사실상 요구하는 학생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장애를 나는 극복한 것인가? 아니다. 변호사가 되어서도 장애는 참 어려운 문제이다. 한 번에 뛰어 넘고 극복하는 문제가 아니라 평생에 걸쳐서 적응하는 것이라고 본다.”

 

첨부 파일